포털아트/낙찰후기2020. 1. 17. 13:19


기다림은 어떤 느낌일까..
지겨움 짜증 아니면 두려움... 이런 기다림도 있겠지만
하지만 그림에서 느껴지는 기다림은
절제된 사랑스러움, 하지만 간절한 ..
어떤기다림일지 궁금해지는 .. 상상하게하는 그림입니다.

출처[포털아트 - albert79]
Posted by 포털아트
포털아트/낙찰후기2020. 1. 17. 13:19


첫경매라 시작가를 보지 못하고 바로 5만원더 올려서 입찰 해버렸습니다. .. 실수했구나 하는 찰라 하지만 그리 아깝다는 생각은 아니었습니다.
좋은 작품을 구매할수 있었던 기쁨이 더 컸던것 같습니다.
흰색과 청색의 시원함. 직장에서 답답함을 느낄때는 이런 단순한 작품이 기분을 상쾌하게 해주는 묘한 끌림이 있는듯합니다.

출처[포털아트 - albert79]

'포털아트 > 낙찰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릴적 기억이 생각나 꼭 받고 싶었던..  (0) 2020.01.17
기다리는 마음이 사랑스러운 ..  (0) 2020.01.17
같은듯 다른느낌!  (0) 2020.01.13
팔공계곡 낙찰  (0) 2020.01.10
조각보예찬  (0) 2020.01.09
Posted by 포털아트
포털아트/낙찰후기2020. 1. 13. 13:14


오래전부터 주윤균작가님의 작품을 보았는데 제가 이번에 낙찰받은 작품은 다른 느낌으로 받아들여지네요.
예전에 작품은 파도의 느낌이 질감으로 느껴졌다면 이번 작품은 부드럽게 표현하신듯하네요. 색감도 부드럽고 따스하게 느껴져 안개 자욱한 깊은 산속에서 저만 봄을 먼저 맞이한듯합니다. 포장을 꼼꼼하게 하셔서 안전하게 작품 잘 받았습니다.

출처[포털아트 - prey000]
Posted by 포털아트
포털아트/낙찰후기2020. 1. 10. 15:23


조규석 교수님 팔공계곡 낙찰 받았어요
구림이 맘에 꼭 들어요 잘 감상하겠습니다.

출처[포털아트 - yseonk]

'포털아트 > 낙찰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첫 경매라 실수도 했지만 아깝지 않은..  (0) 2020.01.17
같은듯 다른느낌!  (0) 2020.01.13
조각보예찬  (0) 2020.01.09
류건수 작가님의 개여울을 낙찰받았습니다.  (0) 2020.01.08
장생의 이야기  (0) 2020.01.08
Posted by 포털아트
포털아트/낙찰후기2020. 1. 9. 09:52


조각보는 일상생활에 유용게 사용되는 생활용품으로 여러 개의 천을 모아 보를 만든다.따라서 조각보는 생활속에 절약과 노력의 산물로 여겨진다.그래서 작가는 조각보에 한 가정과 그 식구들의 꿈을 그려낸 것 같다. 우리의 일상 그것은 우리의 생활이며 삶이다.그것은 아름답게 만들어진 조각보속에 존재한다. 조각보는 각 개인이나 가족이 가진 세상이며 세계이다.

출처[포털아트 - denniskim19]

'포털아트 > 낙찰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같은듯 다른느낌!  (0) 2020.01.13
팔공계곡 낙찰  (0) 2020.01.10
류건수 작가님의 개여울을 낙찰받았습니다.  (0) 2020.01.08
장생의 이야기  (0) 2020.01.08
해피와 한옥  (0) 2019.12.30
Posted by 포털아트


작가약력
 
1958     전남 장흥 출생
1982     중앙대학교 미술대학 회화과 졸업
  -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
 
1992     제1회 개인전(금호미술관)
1993     제2회 개인전(박여숙화랑)
1995     제3회 개인전(금호미술관)
1998     제4회 개인전(갤러리 동산방)
2000     제5회 개인전(아트스페이스 인 서울)
 
1984     제7회 중앙미술대전 한국화부 대상수상
1985     대한민국미술대전 한국화부문 특선
1993     제12회 석남미술상 수상
2003     제3회 부일미술대상 수상
 
1994~9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과 전임강사
1999~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한국화과 교수
 
 
작품세계
 
김선두작가는 주로 서민의 삶과 자연을 소재로 작업하며 수묵과 채색을 넘나드는 질료 선택으로 한국화의 영역을 확장시켜가는 작가로 평가받고 있다.
 
그 또한 구도와 형상, 색감 등에서 과감한 시각적 실험을 시도하여 독특한 화풍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Posted by 포털아트


작가약력

 

1950     전남 여수 출생

1974     홍익대학교 졸업

1978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졸업

 

1998~11  개인전 20여회(서울, 경주, 미숙, 독일, 스위스, 영국, 스페인 등)

 

1981~11  서울예술대학 사진과 교수

1988~89  독일 빌레펠트대학교 사진디자인과 연구교수

2007     여수세계박람회 명예홍보대사

2011     C20 한국대표예술가 선정

2015~16  순천대학교 인문예술대학 사진예술학과 석좌교수

Posted by 포털아트


작가약력
 
1921     경기 파주 출생, 2005년 별세
1945     경성제국대학 법과 졸업
  -      대학졸업 후 심산 노수현에게 사사
 
 
1957     제1회 개인전(동화화랑)
1958      독일 위버제미술관에서 개인전
1959     서울 중앙공보관화랑 및 일본 아시아센터에서 개인전
1960     일본 국제자유미술전 출품
1961~64    2. 9 동인전
1962~68   신상회전
1965     말레이지아 한국미술전 출품
1961     미국무성 초청으로 미국 미술계 시찰
1971     반도화랑 개인전
1973     한국근대미술60년전 및 한국 현역화가 100인전 출품
1975~ 05   현대화랑에서 개인전 11번 개최
1982    프랑스 파리 살롱 도톤느전 출품
1996     파리시립미술관에서 열린 한국현대미술전에 출품
 
 
1938~39  조선미술전람회 연2회 입선
1973     국민훈장 모란장 수훈
1991     대한민국 예술원상 수상
1995     오지호미술상 수상
1995     은관문화훈장 수상
 
 
1967~86   홍익대학교 교수
1972~74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초대학장
1980~82   홍익대학교 총장
1989~97   대한민국 예술원회장
 
 
 
 
작품세계
 
이대원은 경복고에 재학중인 17세의 나이에 조선미술전람회에 출품하여 2년 연속 입선하는 등 미술에 재능이 있었으나 부모님의 반대로 경성제대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대학 졸업 후 심산 노수현에게 사군자를 배우는 등 독자적인 미술공부로 자신만의 독특한 경지를 이루고 대학에서 미술을 전공하지 않았음에도 1967년 40대 중년의 나이에 홍익대 교수가 되는 등 입지를 다진 화가이다.
 
이대원의 작품은 산과 들, 나무와 연못 등 손쉽게 접하는 자연을 소재로 삼아 생동감 넘치는 색채와 부호화된 조형언어로 삶의 즐거움과 생명으로 가득한 자연의 현상을 화폭에 담았다.
 
그의 작품은 한국적인 소박한 맛과 색채의 화려한 아름다운이 공존한다.
정적이고 소박해 보이는 소재지만 밝은 원색과 점과 선으로 리듬감있게 표현되어 생동감과 역동성이 넘쳐 보는 이를 매료시킨다.
원근법에서 자유롭게 벗어난 간결하고 황홀한 색의 향연, 불규칙한 듯 자유롭게 그어진 거침없는 색점은 이대원만의 트레이드 마크이기도 하다.
 
그의 작품에서는 자유롭고 힘찬 붓질이 이루어낸 점과 선들은 고흐나 인상파의 점묘법을, 에너지로 충만한 원색의 화면들은 야수파를 떠올리게 하나, 그의 작품은 유채화라는 양식적인 특징에도 불구하고 동양적인 필법을 구사하며 한국적인 정서를 풍기고 있다.
 
한국 수묵화의 거장인 청전 이상범은 그의 작품을 두고 '서양물감으로 그린 동양화'라고 표현하기도 했다.
 
 
 
 
 

 

Posted by 포털아트


작가약력
  
1924     전남 고흥 출생, 2015년 별세.
1944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 졸업
  
1946     제1회 개인전
1962     필리핀 초대전 출품
1963     일본 동경 서촌화랑에서 개인전
1965     일본 동경 이도화랑에서 개인전
1967     말레이시아 정부 초청 초대전
1969     제10회 상파울로비엔날레 출품(브라질)
1970     남태평양 풍물 시리즈 스케치전(신문회관화랑)
1974     아프리카 풍물시리즈 스케치전(현대화랑)
1995     천경자 회고작품전(호암갤러리)
  
1942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 입선
1955     국전 대통령상 수상
1964     문예상 본상 수상(문교부 주최)
1971     서울시문화상 수상
1975     삼일문화상 수상
1979     대한민국 예술원상 수상
1983     은관문화훈장 수훈
 
1954~74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교수
1960~81   국전 초대작가, 심사위원, 운영위원
1978~    대한민국 예술원 회원
 
 
작품세계
 
천경자의 작품세계는 1942년부터 세계여행을 시작하는 1969년까지를 전기, 1970년 이후 1990년대까지를 후기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기에는 주로 현실의 삶과 일상에서 느낀 체험을 바탕으로 삶과 죽음 등 자신의 내면적 갈등을 보여주고 있다.
 
후기에는 외부 자연에 존재하는 것들을 통해 자신의 꿈과 낭만을 실현하려는 시기로 볼 수 있다. 특히 후기는 꽃과 여인을 소재로 환상을 표현하거나 해외 여행에서 느낀 이국적 정취를 통해 원시에 대한 향수를 반영하고 있다.
 
 
작품설명
 
이 판화는 천경자화백의 첫째 며느리인 유인숙씨가 어머니인 고 천경자화백과 함께 한 20여년의 시간들을 기록한 에세이 '미완의 환상여행'의 출간을 기념하여 특별히 제작한 판화 모음집 중의 하나이다.
 

Posted by 포털아트


작가약력
 
1916     평양 출생
  -      일본 다마가와 제국미술학교 졸업
 
1957~63  창장미술협회전(국립중앙공보관)
1962     마닐라, 사이공 국제전(필리핀, 베트남)
1964~69  목우회전(국립중앙공보관)
1966~68  한국현대서양화 100인전(신세계화랑)
1969~71  한국사실작가회전(신문화랑, 신세계화랑)
1972     한국근대미술 60젼전(국립현대미술관)
1975~76  아시아현대미술전(일본)
1976     도불기념전(현대화랑)
1980     개인전(선화랑)
1984~85  현대미술초대전(국립현대미술관)
1992     원로작가 회화전(국립현대미술관)
1995     현대미술 50년전(국립현대미술관)
2004     제1회 이동훈미술상 수상작가 초대전(대전시립미술관)
 
1955     제4회 국전 특선
1958     제7회 국전 대통령상 수상
1959~60  제8~9회 국전 특선
1975     제24회 국전 초대작가상 수상
1981     국민훈장 서류장 수훈
1992     대한민국 은관문화훈장 수훈
2003     제1회 이동훈미술상 본상 수상
2008     제53회 대한민국예술원상 수상
2009     제56회 서울특별시문화상 수상
 
1960~81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회화과 교수
1962~81  국전 초대작가 및 심사위원
1982~90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명예교수
1992~94  제23,24대 구상전 회장
  -      한국미술협회 고문
 
 
Posted by 포털아트